문제 이해
문자열이 주어지면 문자열 안에서 튜플을 가려내면 되는 문제.
아이디어 구상
우선 주어진 값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단 1번 가공해서 사용하는 게 편할 거 같아서 1차적으로 숫자와 , 만 리스트에 담아서 저장했고 그다음 1차원 리스트에 담긴 값을 길이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했다.
그다음 문자열만큼 반복하면서 문자 -> 숫자로 형태를 변환시키면서 원래 숫자를 만들고 vis로 해당 숫자가 사용 됐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면서 결과 리스트에 추가했다.(리스트 = 벡터와 같은 의미로 단어를 사용했습니다.)
코드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#define MX 100005
int vis[MX];
vector<string> v;
int chk(string a, string b){
return a.size() < b.size() || (a.size() == b.size() && a < b);
}
vector<int> solution(string s) {
vector<int> answer;
string str = "";
for(int i = 0; s[i]; i++){
if(s[i] == '{' || s[i] == '"') continue;
if((s[i] == ',' && s[i-1] == '}') || (s[i] == '}' && s[i-1] == '}')){
v.push_back(str);
str = "";
} else if(s[i] == '}') continue;
else str += s[i];
}
sort(v.begin(), v.end(), chk);
for(int i = 0; i < v.size(); i++){
int num = 0;
for(int j = 0; j < v[i].size(); j++){
if('0' <= v[i][j] && v[i][j] <= '9') num = num * 10 + (v[i][j] - '0');
else{
if(!vis[num]){
vis[num] = 1;
answer.push_back(num);
}
num = 0;
}
}
if(num != 0 && !vis[num]){
vis[num] = 1;
answer.push_back(num);
}
}
return answer;
}
댓글